Go민보다 Go

프론트엔드 개발자

Read 12

1장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

책을 덮고 이해를 바탕으로 정리한 글입니다. 집약형과 분할형 아키텍처가 있고, 집약형은 하나의 큰 컴퓨터의 유한한 리소스를 관리하는 방식으로 한다면, 분할형은 작은 컴퓨터들을 여러 개 써서 하나의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. 작은 컴퓨터들 간의 데이터를 공유하고, 안전성은 떨어지지만 비용적인 부분 등 집약형 보다 장점이 있습니다. 분할형에는 다시 수직 분할형과 수평 분할형, 지리 분할형 등으로 나뉩니다. 수직 분할형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형태로 나뉘는 클라이언트 - 서버형 아키텍처가 있고, 프레젠테이션, 어플리케이션, 데이터베이스로 나뉘는 3계층형 아키텍처가 있습니다. 이렇게 수직으로 분할한 아키텍처를 수평적으로 수를 늘려 큰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게 단순 수평 분할형 아키텍처이며, 수평으로 분할한 서버들 ..

Read 2023.12.12

원티드 프리온보딩: 비즈니스 로직 with React 1-1

질문을 통해 문제를 정의하는 과정으로 설명을 하시는데, 내용이 정말 잘 들어왔습니다. 코스에 대한 설명이 좋아서 두고두고 읽어보고 싶습니다. 다음은 제가 이해를 바탕으로 한 요약입니다. 내용은 더 있지만, 하나하나 보자면 꽤 자세히 다루고 싶은 내용들이라서 전반적으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. 1-1 컴포넌트가 복잡해지는 원인에 대해 고찰해보기 challenge goal : 논리적으로 기술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밝힐 수 있는가? ⏩지식을 다뤄온 태도 복잡도 : '제한된 리소스'에서 요구 사항을 구현하는 일 일 줄이는 일 1. 빠르게 코드를 이해할 수 있는 코드 구조로 만들기 ⏩ 데이터/계산/액션이 구분되어 있나요? 2. 하나의 수정 사항으로 인하여 다른 코드에 미치는 영향 줄이기 ⏩ 비즈니스 로직이 구분되어 ..

Read 2023.12.06